각국의 CBDC 추진 현황 2025년

 


🌐 주요국의 CBDC 추진 현황 (2025년 기준)

🇨🇳중국 – 디지털 위안화 (e-CNY)

  • 현황: 세계에서 가장 앞서 있는 CBDC 프로젝트
  • 시범 실시: 20여 개 도시에서 실사용 중
  • 적용 범위: 공공 교통, 유통, 임금 지급 등
  • 기술 기반: 전용 앱 및 QR 결제
  • 목표: 위안화 국제화, 민간 결제 플랫폼 의존도 감소

🇸🇪스웨덴 – e-크로나

  • 현황: 유럽에서 가장 빠른 CBDC 추진 국가
  • 배경: 현금 사용 급감
  • 실험 방식: 중앙은행 주도의 모의 실험
  • 특징: 추적 가능성 중심 설계

🇪🇺유럽연합 – 디지털 유로

  • 현황: 설계 및 프로토타입 단계
  • 진행 단계: 2025년 이후 실사용 가능성
  • 우려: 개인정보 보호, 은행권 반발
  • 기대 효과: 결제 통합, 빅테크 대응

🇺🇸미국 – 디지털 달러

  • 현황: 발행 미정, 연구 중심
  • 주도 기관: 연준, MIT (Project Hamilton)
  • 의견 분분: 프라이버시 및 정부 감시 우려
  • 현재: 정책 도입은 2026년 이후 예상

🇯🇵일본 – 디지털 엔

  • 현황: 실험 단계
  • 진행 단계: 민간 협력 테스트 완료
  • 특징: 실명 기반 정보관리 구조

🇬🇧영국 – 브리튼코인

  • 현황: 설계 단계
  • 도입 목표: 2026년
  • 기술 방향: 계정 기반 검토

🇰🇷한국 – 디지털 원화

  • 현황: 실사용 실험 단계
  • 진행 일정: 2025년 4~6월 1차, 10월 2차 실험 예정

📌 요약: 각국 CBDC 진행 상황 비교

국가 진행 단계 특징 요약
중국 🇨🇳 실제 사용 단계 전국 파일럿, 대중화 가속
스웨덴 🇸🇪 실험 단계 현금 대체 수단 강화
유럽 🇪🇺 설계 단계 통합 결제망 구축
미국 🇺🇸 연구 단계 기술 실험 중심
일본 🇯🇵 시범 테스트 은행 연계 실험 중
영국 🇬🇧 설계 중 2026년 도입 목표
한국 🇰🇷 실사용 실험 2025년 2단계 실험 예정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철강 관세 부과에도 시장 안정적 유지

엄주성 대표 고객 사과 시스템 점검 개선 진행

조선주 상승, 미국 협력 기대감 고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