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의 CBDC 추진 현황 (2025년)
🇰🇷 한국의 CBDC 추진 현황 (2025년 기준)
- 1. 정책 배경
- 2. CBDC 추진 일정
- 3. 실험 내용 요약
- 4. 도입 목표 및 기대 효과
- 5. 참고 링크
🚩 1. 정책 배경
 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결제가 급증하고 암호화폐·빅테크 기반의 결제 수단이 확산되면서,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유지와 금융안정을 위한 디지털 화폐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.
  한국은행은 금융위원회, 금융감독원 등과 함께 기술 연구 및 법제도 정비를 병행하며 단계적으로 CBDC 실험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.
🚩 2. CBDC 추진 일정
| 시기 | 내용 | 
|---|---|
| 2020~2022 | 기술적 기반 연구 및 1차 모의 실험 완료 | 
| 2024 | 법제화 연구 시작, 민간 협업 논의 확대 | 
| 2025.04~06 | 1차 실험 (리테일 결제 환경 테스트) | 
| 2025.10 (예정) | 2차 실험 (P2P 송금, 바우처 등 기능 검증) | 
🚩 3. 실험 내용 요약
🔹 1차 실험 (2025년 4~6월)
- 참여자: 국민 10만 명 대상
- 기관: 신한·우리은행 등, 금융결제원
- 사용처: 커피숍, 편의점, K-팝 매장, 배달앱
- 주요 내용: 예금→디지털 원화 전환 및 실사용 테스트, 실시간 거래 속도 및 편의성 평가
🔹 2차 실험 (2025년 10월 예정)
- 기능 확장: 
    - P2P 송금 기능
- 디지털 바우처 실험 (지정 용도 화폐)
- 스마트 계약 기반 정책 지원 방안 검토
 
🚩 4. 도입 목표 및 기대 효과
| 목표 | 설명 | 
|---|---|
| 현금 감소 시대 대응 | 디지털 결제 환경에 맞는 새로운 공공 화폐 제공 | 
| 지급결제 시스템 혁신 | 효율성과 보안성이 높은 결제 인프라 구축 | 
| 금융 포용성 확대 | 은행 접근이 어려운 계층에게 화폐 이용 보장 | 
| 정책 전달력 강화 | 바우처, 재난지원금 등 정책 자금의 정확한 지급 가능 | 
| 통화정책 보완 | 민간 암호화폐 확산에 대응, 중앙은행 영향력 유지 | 

 
댓글
댓글 쓰기